1. 프로젝트 생성
간편하게 Spring Initializr 사용

패키지는 당장 생각나는 것만 추가하고 프로젝트를 생성했다.
2. DB 연동
docker-compose로 DB들을 띄우고
spring 프로젝트의 application.yml에 DB 메타정보를 입력한다.
spring: datasource: url: jdbc:mariadb://127.0.0.1:3306/instadb driver-class-name: org.mariadb.jdbc.Driver username: insta password: 1234 jpa: open-in-view: false generate-ddl: true show-sql: true hibernate: ddl-auto: create
여기서 주의사항은 Docker 컨테이너로 실행된 mariadb에 접속해야 하므로 localhost가 아닌 127.0.0.1 (IP)로 적어야 한다.
그렇지 않으면 socket 통신을 하게 되어 다음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.
ERROR 2002 (HY000): Can'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'/var/run/mysqld/mysqld.sock' (2)
(참고: In Unix based systems, MySQL will assume you want to use a socket if you connect to the host "localhost". Here you have a complete answer how to resolve this problem: serverfault.com/a/337928/467190 )
spring application 실행하여 연동 확인하고 db table 생성도 확인해준다.


+) mongodb 연동은 아직인데, 다음 블로그글을 참고하면 좋겠다.
[프로젝트3] 1. Spring Data MongoDB 시작하기 + MongoTemplate
MongoDB with spring-data-mongodb
velog.io
'develop > toy proj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인스타그램 클론] 1. 개발 환경 구축 (0) | 2022.06.11 |
---|